[기사] 금융·공공 실적 함박웃음, 고용시장은 울상
페이지 정보
대상노무법인 21-05-04 16:08지난해 실업률은 4%다. 2019년 3.8%보다 0.2%포인트 올랐다. 2015년 3.6%였던 실업률은 이듬해 3.7%로 올라 2017년까지 규모를 유지했고, 2018년 3.8%로 상승해 이듬해에도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0.1%포인트씩 올랐던 실업률이 지난해 0.2%포인트 상승한 것은 코로나19의 영향을 빼놓고는 해석하기 어렵다.
KB금융 1분기만 1조2천억원 당기순이익
이처럼 고용시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울상이지만 다른 한쪽은 함박웃음을 지었다. 금융권이다. 4대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권은 대부분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1분기 1조2천70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무려 74.1% 증가했다. 신한금융 1조1천919억원, 하나금융 8천344억원, 우리금융 6천716억원을 기록했다. 농협금융과 기업은행도 각각 6천561억원, 5천920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했다.
금융권과 함께 ‘좋은 일자리’의 한 축을 담당하는 공공부문도 불황이 없다.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30일 내놓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 347곳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5조3천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도 4조5천억원보다 증가한 것으로 8년 연속 흑자다. 부채가 17조9천억원 증가하긴 했지만 자산이 41조6천억원이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
공공부문 채용 2만6천명, 5천명 감소
문제는 이런 성과가 고용확대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 고용은 되레 줄었다. 공공기관은 지난해 3만1천명을 신규 고용했다. 2019년 4만1천명보다 1만명이나 줄어든 규모다. 올해는 더 줄었다. 지난 2월 공공기관 채용박람회 발표 기준으로 신규 채용 규모는 약 2만6천명이다. 김유빈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총액인건비 통제를 받고 있고 다양한 사회투자를 병행해야 하는 공공부문은 새롭게 고용을 창출할 여력이 없다”며 “민간부문도 디지털 일자리의 직접 일자리 비중을 높일 여지는 있지만 코로나19 종식 이후 즉각적으로 안정적 일자리를 창출해 낼 여력은 없다고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금융권도 마찬가지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현재 은행권은 비대면 사업 증가에 따라 발생한 과잉인력·과잉점포 상태를 해소하는 게 첫 번째 과제가 됐다”며 “게다가 1분기 실적이 4분기까지 동등하게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기도 어려워 이윤을 낸 부분을 고용으로 즉각 전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국내 실업률이 경기 순환과 다르게 작동한다는 지적도 코로나19 이후 고용시장 전망을 어둡게 한다. 김병국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통상 경기가 나쁘면 고용이 줄어 실업률이 오르고, 경기가 좋으면 고용이 늘어 실업률이 감소하는 게 상식인데 우리나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취업동력 약화로 경기와 다른 길 가는 추세 실업률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고용상태 간 노동이동 분석을 통한 실업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추세 실업률’ 영향이 크다. 추세 실업률은 10년 이상 장기적인 인구구조와 경제구조의 누적된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실업률이다. 은퇴 후에도 지속해서 노동시장에 잔류한 베이비부머가 비경제활동인구가 아니라 경제활동인구로 편입하면서 실업률의 상수로 자리 잡고 영향을 주는 것이다. 지난해 실업률 악화가 코로나19 탓이 아니라 경제·인구구조 때문이라는 의미다.
추세 실업률은 2005년 연간 실업률 3.8% 가운데 3.4%포인트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지속 확대해 2019년 3.9%포인트로 늘었고, 지난해도 3.9%포인트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추세 실업률의 특징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자동화 같은 산업구조 변화와 신생기업 감소 같은 취업동력 약화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문제다. 청년고용 위기가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유빈 연구위원은 “단기 직접일자리라도 늘려서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소득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인 정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KB금융 1분기만 1조2천억원 당기순이익
이처럼 고용시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울상이지만 다른 한쪽은 함박웃음을 지었다. 금융권이다. 4대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권은 대부분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1분기 1조2천70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무려 74.1% 증가했다. 신한금융 1조1천919억원, 하나금융 8천344억원, 우리금융 6천716억원을 기록했다. 농협금융과 기업은행도 각각 6천561억원, 5천920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했다.
금융권과 함께 ‘좋은 일자리’의 한 축을 담당하는 공공부문도 불황이 없다.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30일 내놓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에 따르면 국내 공공기관 347곳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5조3천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도 4조5천억원보다 증가한 것으로 8년 연속 흑자다. 부채가 17조9천억원 증가하긴 했지만 자산이 41조6천억원이나 늘어난 영향이 컸다.
공공부문 채용 2만6천명, 5천명 감소
문제는 이런 성과가 고용확대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점이다. 실제 고용은 되레 줄었다. 공공기관은 지난해 3만1천명을 신규 고용했다. 2019년 4만1천명보다 1만명이나 줄어든 규모다. 올해는 더 줄었다. 지난 2월 공공기관 채용박람회 발표 기준으로 신규 채용 규모는 약 2만6천명이다. 김유빈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총액인건비 통제를 받고 있고 다양한 사회투자를 병행해야 하는 공공부문은 새롭게 고용을 창출할 여력이 없다”며 “민간부문도 디지털 일자리의 직접 일자리 비중을 높일 여지는 있지만 코로나19 종식 이후 즉각적으로 안정적 일자리를 창출해 낼 여력은 없다고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금융권도 마찬가지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현재 은행권은 비대면 사업 증가에 따라 발생한 과잉인력·과잉점포 상태를 해소하는 게 첫 번째 과제가 됐다”며 “게다가 1분기 실적이 4분기까지 동등하게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기도 어려워 이윤을 낸 부분을 고용으로 즉각 전환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국내 실업률이 경기 순환과 다르게 작동한다는 지적도 코로나19 이후 고용시장 전망을 어둡게 한다. 김병국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통상 경기가 나쁘면 고용이 줄어 실업률이 오르고, 경기가 좋으면 고용이 늘어 실업률이 감소하는 게 상식인데 우리나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취업동력 약화로 경기와 다른 길 가는 추세 실업률
한국은행이 최근 펴낸 고용상태 간 노동이동 분석을 통한 실업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추세 실업률’ 영향이 크다. 추세 실업률은 10년 이상 장기적인 인구구조와 경제구조의 누적된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실업률이다. 은퇴 후에도 지속해서 노동시장에 잔류한 베이비부머가 비경제활동인구가 아니라 경제활동인구로 편입하면서 실업률의 상수로 자리 잡고 영향을 주는 것이다. 지난해 실업률 악화가 코로나19 탓이 아니라 경제·인구구조 때문이라는 의미다.
추세 실업률은 2005년 연간 실업률 3.8% 가운데 3.4%포인트를 차지했다. 이 수치는 지속 확대해 2019년 3.9%포인트로 늘었고, 지난해도 3.9%포인트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추세 실업률의 특징은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자동화 같은 산업구조 변화와 신생기업 감소 같은 취업동력 약화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문제다. 청년고용 위기가 코로나19 이후에도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유빈 연구위원은 “단기 직접일자리라도 늘려서 경력단절을 방지하고 소득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인 정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출처: 매일노동뉴스 이재 기자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678]